서당개노릇만 몇년을 하다보니 당연한게 이제 보이기 시작
깔끔하게 정리
성지를 이용한 저렴한 가격의 기준
1. 매장지원비
이동거리 + 구매노동이 값어치 없다라고 느껴질땐
신상기준 매장지원비 50(기변) 70(번이) 이상이면 갈만함
이동거리 + 구매노동이 좀 먼거리이거나 시간=돈이라 판단되는 사람은
신상기준 매장지원비 50~70+위 금액을 더하면 이득임
2.요금제
가. 나는 테더링, 결합이 무엇인지 모르며, 서브폰 존재가 없다 => 위 1번기준을 만족하며 선약 4개월(기변) ~ 6개월(번이) 후 알뜰폰
나. 난 가족결합 및 테더링을 많이 사용. 또는 이통사 VIP서비스가 필요 => 통신3사 고려 + 공시 맥심 고려
3.자급제
간혹 특가일때 구매시 조건을 충족하면 2-가.의 사용자는 골라볼만함
ex) 필자의 S25울트라 쿠x 등 온라인몰의 자급제 구매기준이 출고가 169만원에서 -30만원 할인조건임.
이렇게 139만원에 자급제를 사게되면 성지에서 4개월 선택약정으로 고가요금제를 사용하며 받는 할인을 상쇄하고 남음.
4.단말기
대부분의 정책이 시리즈가 나오면 정책금은 모델별 차등이 없음 (10년동안 거의 동일함)
이 말의 뜻은 S25시리즈의 매장지원금이 70만원이면
S25 115만원에 선택약정은 45만원에 구매. S25울트라는 169만원에 99만원에 구매임
이는 S25는 출고가대비 50%미만으로 구매하는것이고, S25울트라는 50%이상의 가격으로 구매하는 절대값 할인임
하지만 지금 S23시리즈의 중고가를 살펴보면 무엇이 나은선택인지는 다들 알 것임.
특별히 필요한게 아니면 용량은 기본용량 그리고 기본모델이 가장 가격방어가 잘 됨.
그리고 구매가격도 제일 많이 후려쳐서 살 수 있음.
5.향후전망
앞으로 포화되며 소비자도 지갑을 더욱 닫기에, 유통업자 - 개인간 직접(온라인신청/개통) 거래가 오지 않을까 싶음.
판매자님들 힘드실거라 위로를 드림.
6.꿀팁
가. 본인이 공시 2년이 지났거나 선약 12~24개월을 다 채웠을때 시세가 좋지 못하여 잠시 대기중일때
과감하게 알뜰폰 온라인 개통을 하자. 평일기준 신청서쓰면 다음날 유심이 발송 D+1,2일 도착, +1일 자동개통
즉 1일(월)신청3일(수)유심수령 4일(목)개통. 번호이동 최초기간 D+15일 = 19(금)부터 통신3사가 번이가 가능함.
그러면 LG를 번이가 가장 싼맛에 갔다가. 다시 내가 구매시점에 LG번이만 가장 쌀 경우가 간간히 있음.
이 때 위 작업을 일찍 해놓았으면 다시 LG번이가 가능함. (집 유선 3년 약정이라 결합하는 혜택 챙기는 상황도 나옴)
참고) 알뜰폰LG망은 LGU+랑 다른망이라 번이로 처리됨. 아예 알뜰폰은 타사로 보면됨
나. 2-가를 실행하는사람은 4개월 선약시 25%씩 4개월을 낸 할인반환금을 마지막에 뱉어내야됨. 그거까지 고려해야지 안그럼 나중에 속쓰림
그리고 어차피 이렇게 할 사람은 4개월에 빨리 끝내야지. 안그럼 할인반환금만 쌓임
다. 통신3사의 좋은점은 LG빼고 파손보험이 있다는것임 (LG는 교체 ㄷㄷ). 이 말은 3사를 탈퇴할거면 삼성은 삼성케어플러스, 아이폰은 쿠x 또는 애플
케어등을 통해서 자신의 생활습관에 따라 보험이 필요하면 일찍해야함. 안그럼 이도저도 안됨.
**** 만약 24개월이상 사용하면서 보험활용할 상황이 전무하면 그것도 돈임 (대략 7천원 X 24 = 약 17만원, 애플케어는 더 비쌈)
7.가족구성원을 책임질 경우
가. 인터넷,TV,와이파이,셋탑까지 3년구성시 적어도 70~80만원의 지원금이 나옴 (상품권7만원?포함)
**** 특정요금제 이상의 TV, 인터넷속도를 만 1년동안 유지해야함.
나. 유선도 마찬가지로 남의 통신사 유선을 동일날짜에 뺏어오면 5~10만원인가 지원금이 나옴
다. 이 유선상품을 구매한 판매점에서 같은 달에 유선상품 명의자와 동일명의자 (가령 본인)가 휴대폰을 같은 통신사로 번이 (확실) 또는 기변 (확인요망) 할 경우 동시판매라 하여 추가금이 10~20만원 더 나옴
**** 이 경우 개통한 핸드폰의 회선(통신사)을 12개월이상 유지해야 판매점 리베이트가 환수안되니 참고
8. 애매한 상황 정리
가. 공시로 개통시 전산등록(확정기변)은 180일(통상) 이전에 하게되면 표기된 위약금 외 대리(판매)점 추징이 있음 - 세부사항은 모름
나. 공시로 개통시 180일(통상+10일까지 판매점마다 다름) 이후에 전산등록(확정기변)은 표기된 위약금만 청구됨
다. 공시로 개통 후 잔여기간 180일 미만일 경우 통신사 (자급제 안됨) 를 통한 신제품 구매와 동시에 기기변경 시 잔여 위약금 면제
라. 다.를 통한 기기변경시 이전에 쓰던 공시로 개통했던 폰은 선택약정이 가능한 기계로 풀림
마. 다.를 통한 기기변경 개통시 선택약정으로 개통하였더라도 이 전의 공시기간까지는 통신사 회선을 유지해야 이 전 폰의 위약금이 청구안됨.
예시를 듬
23년 10월 20일 아이폰 15프로를 공시로 개통함
25년 4월 25일쯤 갤럭시울트라를 선택약정으로 개통함 (위약금 유예로 안나옴)
25년 9월 판매점에서 언급한 기기변경 4개월 의무를 다 하고 알뜰로 넘어감 ==> 판매점 책임이 아님
25년 10월 19일까지 24개월 (아이폰15프로 공시)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통신사 회선을 떠나갔기 때문에 면제된 위약금이 부활되서 청구됨
하나라도 모르는게 있었다? 그럼 추천
[AD] 캐릭터 AI 대화 사이트 가상 연애 - 로판 AI
LG도 파손보험 있음
글에서 열심히 공부하신 티가 많이 나네요.
물론 몇몇 글은 생각이 다른점도 있지만 이거야 케바케 사바사 아니겠어요?
싸게 사실만한 충분한 능력이 있어보입니다. 닥추하고 갑니다
글 잘봤습니다 5번 같은 경우 덧 붙여 말씀 드리면 판매자 분들도 그렇겠지만 소비자 분들도 많이 힘드시죠 LTE 휴대폰 때는 저가 요금제 쓰시는 분들은 공시 지원금이 많이 높으면 무조건 거의 유리 했는데 KT는 아직도 5g 제대로 된 속도도 안나오고 5g 휴대폰 공시로 구입시 각 통신사 마다 SK 42000
KT 47000 LG 45000 요금제 하향 변경 제한 이것 때문에 저가 요금제 쓰시는 소비자 분들은 수지 타산이 안맞고 휴대폰 출고가 2년간 휴대폰 요금
총 지출액 합산 계산 해보면 자급제가 총지출이 훨씬 적을 수도 있으니 더더욱 휴대폰 구입을 자주 안하시죠!
알뜰이동시 지원받은금액 토해내야되니
필수유지기간은 통신사/판매점별로 다르니 별도
꼭 확인하시길~~~
글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 모바일 인터넷 티비 한번에 옮길거라서 궁금하네요
시세표업체는 어떨지 몰라서요
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얻어갑니다. 감사해요
정보 감사합니다
초보자라 꼼꼼히 정독하고 정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꿀팁 감사합니다! 덕분에 기준이 좀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