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MediaVault  를 설치하게 되면 해당 하드디스크 전체를 시스템 파티션으로 묶어버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테라 하드를 OMV 설치에 사용한다면 1테라 모두가 시스템 영역으로 잡혀서 정작 데이터용으로 쓸 수 있는 공간이 남질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OMV 설치 후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사용될 프로그램은 공개 프로그램인 Tuxboot 입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tuxboot/files/ 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 최신버젼을 선택해줍니다

▼ 윈도우즈 선택

▼ tuxboot-0.6.exe 를 선택하여 다운받습니다

▼ Tuxboot 실행화면입니다

1. gparted-live-stable
2. Update 선택

▼ 업데이트를 누르시면 왼쪽에 최신버젼 목록이 뜹니다.

1. 0.17.0-1-i486 을 선택해줍니다.
2. 사용하실 USB 드라이브를 선택해줍니다. 저는 F: 드라이브로 되어있습니다.
3. OK 를 누릅니다.

▼ GParted 를 다운로드하고 설치까지 Tuxboot가 알아서 해줍니다.

▼ USB 준비가 끝났습니다. 반드시 EXIT 를 눌러주세요.

USB를 나스에 꼽고 재부팅을 합니다. 여러번 말씀드렸지만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서를 USB 우선으로 설정해주세요.

▼ GParted 로 부팅된 화면입니다. 가만 놔두시면 자동으로 GParted Live (Default settings)으로 선택이 되고
기다리기 지루하니 GParted Live (Default settings) 선택 후 엔터를 눌러줍니다.

▼ Don't touch keymap 선택 후 엔터

▼ 기본값이 0으로 알아서 잡혀있으니 바로 엔터를 눌러줍니다

▼ 아쉽게도 한글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33 기본값으로 두고 그냥 엔터를 눌러줍니다.

▼ gparted-live-stable 가 실행된 모습입니다.

▼ 자동으로 GParted 가 실행이 되는군요. 혹시 창이 안뜬다면 직접 GParted 를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저의 경우는 강좌를 위해 윈도우에서 가상화시켜 설치 및 캡쳐를 진행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여집니다.
실제로 여러분이 보게될 화면과는 거리가 있으실텐데요. 나머지 부분은 OMV 포럼에 올라와 있는 설명 및 사진을 토대로 진행하겠습니다.

-출처: http://forums.openmediavault.org/viewtopic.php?f=12&t=1844&p=9947&hilit=partition#p9947

▼ ext4 가 8기가의 전체 공간중에서 무려 7.62기가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테라 하드를 사용했다면 약 900기가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것입니다.
먼저 ext4 파티션을 선택해서 resize/move 를 눌러 크기를 조정해줍니다.

▼ 대략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입니다.
해당 이미지를 찾을 수 없어 비슷한 이미지를 찾다보니 이런 창이 뜬다는 것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네모 박스친 부분을 왼쪽으로 끌어당겨 원하는 사이즈로 조정해줍니다. 5기가 정도만 주셔도 충분합니다.
용량을 조정하셨으면 resize/move 를 누르고 빠져나옵니다.



▼ 다음은 swap 파티션과 extended 파티션을 모두 삭제 해줍니다.
쉽게 말해 os 가 설치되어 있는 ext4 파티션만 남겨놓고 다른 파티션은 모두 삭제 하시면 됩니다.

이때 주의하실 점은 swap 파티션의 크기를 메모해두셔야 합니다.
스왑파티션을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나중에 다시 이 크기대로 똑같이 만들어 주셔야하기 때문입니다.

스왑파티션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시스템메모리가 많다면 큰효과가 없다라는 말도있고 그래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넷북의 램이 2기가 정도 되기때문에 과감히 그냥 삭제 해버리고 다시 만들어주지 않았습니다.



▼ OS 파티션만 남고 모두 삭제된 상태입니다.

▼ 이제 저장공간으로 사용할 파티션을 설정해줍니다.
(밑에 설명할 스왑파티션을 먼저 지정해주셔도 됩니다. 순서는 상관 없습니다.)
unallocated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하시고 New 를 선택해줍니다.

스왑파티션을 설정하실거라면 아까 메모해두셨던 스왑파티션 용량을 제외한만큼 파티션 크기를 지정해줍니다.
만약 스왑파티션 없이 사용하시려면 남은 용량 모두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create as: extended partition 선택하시고 add 를 눌러줍니다.

(아래부터는 제 넷북에서 직접 부팅한 후에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입니다.)

▼ extended 밑의 unallocated 를 선택해주시고 다시 new를 누릅니다

▼ 빨간 테두리로 체크된 곳을 사진과 같이 바꿔주고 add 를 누릅니다

▼ 이제 스왑파티션을 지정해줄 차례입니다. 만약 윗 단계에서 스왑파티션을 사용치 않기로 결정하셨다면 이 단계는 생략 가능하겠죠?
남아 있는 unallocated 를 선택하고 new 를 눌러줍니다

▼ 아래 표시해둔 것처럼 linux-swap 를 선택하고 add 를 눌러줍니다.
위에서 메모했던 스왑파티션과 용량이 똑같은지 잘 확인하세요.

▼ Apply 를 눌러 저장하시면 모든 과정이 끝납니다.

▼ 파티션 재설정이 완료되었다면 exit 를 실행해서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물론 방금 사용하신 USB는 빼주셔야겠죠?



혹시 작성된 글중에 오류나 잘못된 점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림과 함께 보시려면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http://chamoil.tistory.com/13

[AD] 캐릭터 AI 대화 사이트 가상 연애 - 로판 AI


[AD] 김치프리미엄 김프 실시간 확인 - 김프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AD] 온라인 아이큐 테스트 (2023) - 한국인 평균 IQ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