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웹 서비스(AWS) 사용법

-에피- | 웹정보 | 조회 수 3400 | 2016.03.29. 21:43

아마존 웹 서비스는 시간당 사용료를 내고 서버를 사용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입니다.

일반 호스팅 서비스와는 달리 매우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EC2: 가상 서버
- CloudWatch: 리소스 모니터링 서비스
- S3: 스토리지 서비스
- Glacier: 매우 저렴한 데이터 저장 서비스
- CloudFront: CDN 서비스
- RDS: MySQL 등의 관계형 DB 서비스
- DynamoDB: NoSQL 서비스
- ElastiCache: 인 메모리 캐시 서비스
- Route 53: DNS 서비스
- ELB: 로드밸런서(부하 분산 서비스)
- Auto Scaling: 트래픽에 따른 횡적 확장(EC2 추가 및 삭제)
- CloudFormation: 서버 구성 자동화
- Elastic Beanstalk: PaaS
- OpsWorks: Chef를 기반으로 하는 PaaS
- CloudSearch: 검색 서비스
- SNS: 푸시 알림 서비스
- SES: 이메일 전송 서비스
- SQS: 메시지 큐 서비스
- Elastic Transcoder: 동영상 인코딩 서비스

회사 업무나 제품이 아니더라도 개인 블로그를 구축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 가입하면 1년 동안 AWS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 티어가 주어집니다(무료 사용 기간이 끝난 뒤에는 다른 이메일로 새 계정을 만들면 또 프리 티어가 주어집니다).

저는 까페24 호스팅을 사용하다가 이번에 PaaS 서비스인 Heroku에 블로그를 구축했습니다. Heroku는 서버가 미국에 있다보니 속도가 느려서 CDN 서비스인 CloudFront를 연동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운영비는 도메인을 연결한 Route 53만 한달에 $0.5가 나오고 있습니다. Heroku는 Dyno가 1개라 무료고, CloudFront도 프리 티어라 무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EC2 인스턴스는 개발 및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자 취향과 상황에 따라서 저처럼 Heroku를 사용하지 않고 EC2에 바로 블로그를 돌리셔도 됩니다.

이번에 제가 AWS에 관한 책을 썼는데요. 원고도 모두 인터넷에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보고 활용해주셨으면 합니다.
(트위터나 페북, 다른 커뮤니티에서 링크를 보신 분도 계실겁니다. 혹시나 못보신 분들을 위해 글을 써봅니다)

http://www.pyrasis.com/private/2014/09/30/publish-the-art-of-amazon-web-services-book

[AD] 캐릭터 AI 대화 사이트 가상 연애 - 로판 AI


[AD] 김치프리미엄 김프 실시간 확인 - 김프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AD] 온라인 아이큐 테스트 (2023) - 한국인 평균 IQ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