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공제되는 연금저측 기준으로,  S화재 상품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 소득공제한도는 연간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인상, 800만원으로 인상 추진중?
* 이자 소득은 무시합니다. (계산하기도 복잡해지고, 어짜피 연금저축에 돈 안 넣는다면 다른데 투자해서 돈을 벌 수  있으므로)


A와 B는 12월까지 400만원 꽉 채워서 소득공제 받으려고 연금저축에 가입했습니다.
그런데, 똑같이 400만원을 납입하였는데 나중에 연금 수령액은 서로 (수천 만원) 차이가 나겠네요. 왜 그럴까요?

-----------------------------------------------------------------------------------
A. (10년간 연400만원씩 4000만원 납입)
2011년 9월에 월보험료 100만원으로 오프라인 연금저축 가입, 10년납
2012년 1월에 월보험료 33.3만원으로 금액변경

B. (10년간 연400만원씩 4000만원 납입)
2011년 1월에 월보험료 10만원으로 다이렉트 연금저축 가입, 10년납
2011년 9월에 월보험료 20만원으로 금액변경
2011년 12월에 추가납입보험료 240만원 납입
2012년 부터는 연말에 추가납입보험료 160만원씩 납부 예정
-----------------------------------------------------------------------------------


-----------------------------------------------------------------------------------
[A가 가입한 오프라인 상품]
계약체결비용: 신규 계약당시 기본보험료 * 5.8% => 10년간 정액으로 매달 공제
계약유지비용: 현재 기본보험료 * 4.5% => 납입 기간 내 매달 공제
모집인수당: 가입 후 1년간 납입보험료 * 1.91% => 1회 공제
* 추가납입 보험료는 계약유지비용 3.0%만 공제

[B가 가입한 다이렉트 상품]
계약체결비용: 신규 계약당시 기본보험료 * 2.33% => 10년간 정액으로 매달 공제
계약유지비용: 현재 기본보험료 * 4.5%  => 납입 기간 내 매달 공제
모집인수당: 없음
* 추가납입 보험료는 계약유지비용 3.0%만 공제
-----------------------------------------------------------------------------------
1328249141_%BB%E7%BE%F7%BA%F1.jpg


이제 2명의 사업비 공제 비용을 예상해볼까요

-----------------------------------------------------------------------------------
[A]
계약체결비용: (1000000 * 5.8% =) 58000원 * 12개월 * 10년 = 6960000원 공제

계약유지비용: 연400만원 * 4.5% * 10년 = 1800000원 공제

모집인수당: 가입 후 1년간 납입보험료 * 1.91% = (100만원*4개월 + 33.3만원*8개월 =) 6664000원 * 1.91% = 127300원 공제
-----------------------------------------------------------------------------------
a. 10년간 자기가 낸돈 = 400만원 * 10년 = 40000000 원
b. 사업비 공제 = 6960000원 + 1800000원 + 127300 = 8887300원
c. 실질적으로 납입한 보험료 총액(a-b) = 31112700원


-----------------------------------------------------------------------------------
[B]
계약체결비용: (100000 * 2.33% =) 2330원 * 12개월 * 10년 = 279600원 공제

계약유지비용: 1)+2)+3)+4) = 1548000원 공제
1) 1년차 기본보험료 1600000 * 4.5% = 72000원
2) 1년차 추가납입보험료 2400000 * 3.0% = 72000원
3) 2~10년차 기본보험료 연2400000 * 4.5% * 9년 = 972000원
4) 2~10년차 추가납입보험료 연1600000 * 3.0% * 9년 = 432000원

모집인수당: 없음
-----------------------------------------------------------------------------------
a. 10년간 자기가 낸돈 = 400만원 * 10년 = 40000000 원
b. 사업비 공제 = 279600원 + 1548000원 + 0 = 1827600원
c. 실질적으로 납입한 보험료 총액(a-b) = 38172400원


약 706만원 차이



요약하면
1) 신규 가입시 다이렉트 상품으로 가입(계약체결비용이 적고 모집인 수당이 없음)
2) 기존 가입자라면 다이렉트 상품에 (가입 자체는 가능하나) 추가 가입할 필요 없음.
   (기존 계약을 감액한다고 계약체결비용이 줄어들지 않음, 계약유지비용은 오프라인 상품과 다이렉트 상품 동일함)
3) 신규 가입시 기본보험료는 최소액으로 (신규 가입시 기본 보험료 기준으로 10년간 정액으로 매달 계약체결비용이 공제됨) - 나중에 금액변경(증액)
4) 추가납입보험료 적극 활용(계약유지비용이 4.5%가 아닌 3.0%만 공제됨)
5) 소득공제 효과가 크다면 (사업비 공제나 연금 수령시 세금, 향후 불확실성 등을 상쇄할만큼) 충분히 매력적인 상품으로 생각됨.

* 4번의 추가납입보험료 효과는 별로 크지 않겠네요. 왜냐하면 자동이체 1%할인이 안되고, 납입할 때 귀찮으므로...

[AD] 캐릭터 AI 대화 사이트 가상 연애 - 로판 AI


[AD] 김치프리미엄 김프 실시간 확인 - 김프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AD] 온라인 아이큐 테스트 (2023) - 한국인 평균 IQ 106